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 148

[C++] 입출력 가속시키는 법

preset() 함수를 main 함수 맨 윗줄에서 사용한다. void preset() { std::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std::cin.tie(NULL); std::cout.tie(NULL); } int main(){ preset(); //code } 쓰면 좋은 이유 → cin, cout이 scanf, printf에 비해서 속도가 많이 느리고 std::endl보다 '\n'가 훨씬 빠르다. → sync_with_stdio(false); 를 이용해서 C++ 입출력을 가속시켜서 사용할 것이라면 scanf와 printf와 섞어서 사용하지 말 것! 싱글 쓰레드 환경에서만 사용할 것! 그래도 시간초과가 난다면 C 표준입출력 함수들을 사용할 것!

➰ Library/C & C++ 2021.03.16

맥에 Discord 설치하기

1. 클러스터 맥에 brew 설치 rm -rf $HOME/.brew && git clone --depth=1 $HOME/.brew && export PATH=$HOME/.brew/bin:$PATH && brew update && echo "export PATH=$HOME/.brew/bin:$PATH" >> ~/.zshrc 2. brew 제대로 깔렸는지 확인 brew --version 3. Applications 에 notion 설치하기 brew install discord --appdir=~/Applications //안되면 brew cask install discord --appdir=~/Applications 📌42서울 클러스터 이용시 맥>Applications 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계정(인..

맥에 Notion 설치하기

1. 클러스터 맥에 brew 설치 rm -rf $HOME/.brew && git clone --depth=1 $HOME/.brew && export PATH=$HOME/.brew/bin:$PATH && brew update && echo "export PATH=$HOME/.brew/bin:$PATH" >> ~/.zshrc 2. brew 제대로 깔렸는지 확인 brew --version 3. Applications 에 notion 설치하기 brew install notion --appdir=~/Applications //안되면 brew cask install notion --appdir=~/Applications 📌42서울 클러스터 이용시 맥>Applications 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계정(인트라..

42서울 본과정 후기 - 2021.01.17

2021-01-17 거의 한달간의 42서울 카뎃 활동을 했고 한달동안 0서클, 1서클을 통과했다. Libft, Netwhat, Ft_printf, Get_next_line 순서로 과제를 진행했고 그중 가장 어려웠고 많은 시간이 들었던 과제는 printf 구현이었다..ㅠㅠ 보너스는 쳐다도 못 볼 정도로 많은 경우의 수와 예외들이 존재했지만 역시 코딩의 가장 장점인 구현을 완료했을 때 느껴지는 그 희열은.. 다른 과제를 끝냈을 때와는 차원이 달랐다. ㅎ 이제 2서클을 향해 갈까 고민도 했지만 한달동안 과제 4개를 끝내 블랙홀을 많이 늘려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내가 42서울에 와서 해보고 싶었던 웹공부도 더 해볼까한다.

42서울 본과정 후기 - 2021.01.04

2021-01-04 2021년을 학습레포트를 쓰면서 실감하고 있다. ㅎㅎ 매일 집에서 일어나면 코딩, 코딩, 코딩만 하다보니 날짜감각, 시간감각이 다 사라지고 몸도 점점 망가지는 느낌이 들어 어제부터 홈트를 시작했다! 💪(다들 운동하면서 공부하세요 ㅠㅠ) 본과정을 시작한지 딱 2주가 되었고 그 동안 Libft, Netwhat 을 통과하고 Ft_printf 과제를 하는 중이다...ㅠㅠprintf 과제만 일주일 동안 붙잡고 있지만.. 진도가 나가지 않아 눈물이 날것 같다는....ㅠㅠ오늘만 코드를 2번이나 지웠다 다시 풀기를 반복하고 있지만 금요일까지는 전체코드를 다 완성하는 것이 목표이다! 아자 ㅎ 42서울은 모든 과정이 자유다 보니 과제를 빨리 끝내야하지도 않고 하루에 몇시간 이상 공부를 필수적으로 해야하..

42서울 본과정 후기 - 2020.12.22

2020-12-22 본과정 이틀차.. 코딩을 하니까 커피가 너무 마시고 싶다 ㅠㅠ 피신과정동안은 카페인에 중독이 될만큼 마셨는데 본과정을 시작해도 똑같은가보다 ㅎㅎ그래도 집에 강제로 박혀있어서 커피로 나갈 돈을 아낀다고 좋게 생각해야지 ㅎ오늘은 Libft를 test해 볼 수 있는 git을 3개 클론받고 함수를 하나씩 짤때마다 다 test 해보면서 차근차근 진도를 나갔다. 그래도 아직 Part1은 절반도 못 끝냈지만 ㅠㅠ 오늘안에 Part1 2/3까지 끝내는게 목표닷 ! 개발자는 새벽에 코딩이 더 잘되는법! 💻😆남은 오늘하루도 빡세게 달려보려 한다 ㅎㅎ

42서울 본과정 후기 - 2020.12.21

(*일기쓰듯이 쓰는거라 의식의 흐름대로 쓴 글이 많습니다...ㅎ) 2020-12-21 2020-11-17 부터 2020-12-11 까지의 빡센 피신과정이 끝나고 정확히 7일 뒤 2020-12-18일에 합격 메일을 받았다. 😍 (원래는 피신을 하면서도 열심히 글을 업로드 할 생각이었지만.. 너무나 바쁜 일정 탓에 하나도 적지 못했다는....) 앞으로는 갈길이 멀어보이지만 본과정을 시작한다는 설레는 마음을 가지고 일주일만에 컴퓨터 앞에 앉았다. 블랙홀 기간 / 코알리숑 / Holy 그래프를 보니 본과정을 시작한다는 것이 실감났다. 레포트쓰는법, Makefile만드는 법을 공부하면서 차근차근 진도를 나갔고 오늘하루를 돌아보면 결론적으로는 1일차 학습레포트를 이쁘게 만드는데 가장 시간을 많이 들였지만 Makef..

memleak(메모리 누수) 있는지 확인하기

📌 메모리누수(memleak) 확인하기 main 함수에서 [누수를 확인하고 싶은 함수] 이후에 무한루프 만들어 놓고 컴파일하기 int main() { //누수를 확인하고 싶은 함수 my_function(); //무한루프 while(1) { } } 2. ./a.out & 실행 3. ps (백그라운드 실행 확인) 4. leaks a.out (leak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) 5. kill -9 [pid] (백그라운드 실행 죽이기) - 3번째 과정에서 확인했던 a.out의 process 번호 ( 예시. 83766)

➰ Library/기타 2021.01.17

[0 Circle] Libft - ft_lstiter, ft_lstmap

📌ft_lstiter 링크드리스트 전부의 content 변수에 함수 f를 적용시킴 void ft_lstiter(t_list *list, void (*f)(void *));➕ 매개변수 (Parameters) list : 리스트의 포인터 주소 f : 각 리스트에 적용시킬 함수 ➕ 반환값 (Return) void : 없음 ➕ 설명 (Description) ➕ 코드 (Code) #include "libft.h" void ft_lstiter(t_list *list, void (*f)(void *)) { while (list) { f(list->content); list = list->next; } }📌ft_lstmap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어 링크드리스트 전부의 content 변수에 함수 f를 적용시킨 것을 저장하..

[0 Circle] Libft - ft_lstdelone, ft_strclear

📌ft_lstdelone 리스트의 content 를 del함수를 통해 삭제하고 그 리스트를 free시켜준다 void ft_lstdelone(t_list *list, void (*del)(void *));➕ 매개변수 (Parameters) list : 삭제할 리스트의 포인터 주소 del : content 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함수 ➕ 반환값 (Return) void : 없음 ➕ 설명 (Description) ➕ 코드 (Code) #include "libft.h" void ft_lstdelone(t_list *list, void (*del)(void *)) { del(list->content); free(list); }📌ft_lstclear 리스트의 content 를 del함수를 통해 삭제하고 그 리스트 ..